STUDY/HTML 36

HTML : <head> 와 <body> 태그

HTML : HTML 문서의 내용을 나타내며, 한문서에 하나의 요소만 존재할 수 있다. 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은 대부분 CSS로 대체되어있기 때문에 필요할 경우 CSS나 Javascript를 사용한다. 태그를 구분 짓는 특성 1. 구획을 나누는 태그 (layout) - 컨테이너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여러 가지 요소를 묶어서 그룹화한다. ex:) , 등 2. 그 자체로 요소인 태그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ex:) , 등 참고하면 좋은 자료 : 2022.04.12 - [TIL/HTML] - HTML : HTML 문서의 구조 HTML : HTML문서의 구조 HTML : HTML 문서의 구조 Document 이전 html 버전에서 doctype에 버전을 기..

STUDY/HTML 2022.04.12

HTML : HTML문서의 구조

HTML : HTML 문서의 구조 : 웹 브라우저에게 HTML 버전을 알려주는 역할 웹브라우저에게 HTML버전을 알려주는 역할이며, 버전을 기재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html5로 인식한다. 이전 html버전에서 DOCTYPE에 버전을 기재해주어야 해당 버전으로 작동했기 때문에 작성했었지만 html5 이후에는 기재하지 않아도 정상 작동하지만 명시적으로 작성해준다. 은 항상 html 최상단에 기재해주어야 한다. : 페이지 전체의 콘텐츠를 감싸는 최상의 (루트 /root) 요소이다. 여기서 lang은 현 html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지정해준다 : 웹브라우저가 식별할 수 있는 문서정보 (메타데이터)를 담는다. : 웹브라우저 화면에 직접적으로 나타나진 않는 웹페이지의 정보(메타데이터)를 나타낸다. 주목적은 기계(..

STUDY/HTML 2022.04.12

HTML : 빈 요소 (Empty elements)

HTML : 빈 요소 (Empty elements) : 내용이 없는 빈 요소(Empty elements) 일 경우 닫는 태그로 명시하지 않아도 된다. 대표적인 빈 요소 : 이미지 삽입 요소 기술 요약 콘텐츠 카테고리 : 플로우 콘텐츠, 구문 콘텐츠 가능한 콘텐츠 : 없음 빈 요소 태그 생략 : 여는 태그는 필수이며 닫는 태그는 없다. 가능한 상위 요소 : 플로우 콘텐츠를 허용하는 모든 요소 : 수평선 요소 horizon roll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이야기 장면 전환, 구획 내 주제 변경 등 문단 레벨 요소에서 주제의 분리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단독으로 문단과 문단 사이를 나눌 때 주로 사용한다. 명시적으로 빈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로 사용한다. 기술 요약 콘텐츠 카테고리 : 플로우 ..

STUDY/HTML 2022.04.12

HTML : 태그<tag>

HTML : 태그 태그 : + 내용 + 로 구성된 한 줄을요소(element)라고 한다. 꺽쇠 기호 ()안에 들어간 문법에 따라 고유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대소 문을 가리진 않지만 html5에선 소문자로 작성하는 걸 권장한다. 내용 this is tag! My Name is RESHUR! 태그는 엔터(Enter)를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닫는 태그를 만나기 전까지는 그 안의 내용을 모두 요소로 인식한다. 요소의 중첩(nesting) 요소 안에 다른 요소를 넣을 수 있다. (1. text 2. 다른 요소) 들여 쓰기를 통하여 서로의 포함관계를 구분하기 쉽게 나타내야 한다. 하나 둘

STUDY/HTML 2022.04.07

HTML : 웹 표준, 웹 접근성, 웹 호환성

HTML : 웹 표준, 웹 접근성, 웹 호환성 웹 표준 (Web Standards) : 브라우저의 종류 및 버전에 따른 기능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으로, W3C(World Wide Consortium)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 CSS, JavaScript등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 주로 HTML 5 (HTML Living Standard)를 말하며, 웹 표준을 준수하여 작성한다면 웹사이트를 운영체제, 브라우저마다 의도된대로 보여줄 수 있다. 웹 표준의 장점 수정 및 운영관리가 용이하다 콘텐츠의 올바른 구조화와 CSS로 시각표현을 통일하여 제어하게 되어 페이지 제작의 부담 감소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접근성 향상 웹 표준을 지켜 사이트를 만들면..

STUDY/HTML 2022.04.07

HTML :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 Hyper Text Markup Language 웹을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구성 요소이며 웹문서의 기본적인 골격을 담당한다. HTML은 Hyper Text Makrop Language의 줄임말인데 하이퍼텍스트(Hyper Text)란 참조(하이퍼링크)를 통해 독자가 한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즉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를 말한다. 웹에서의 하이퍼텍스트는 웹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연결하는 링크를 말하는데, 링크는 웹의 근본적인 속성으로 인터넷에 자료를 올리고, 다른 사람이 만든 페이지로 링크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웹은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수 있는 전 세계적인 정보 공간을 말하며, 콘텐츠들이 하이퍼텍스트(Hyper Text)로 묶인 집합이라고 볼 수 있..

STUDY/HTML 2022.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