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 연산자 (Operators)
연산자 (Operators)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나머지)를 말한다.
예시 : 나머지(%)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가
- 2로 나눈 나머지가 1 인지 0 인지에 따라 짝수인지 홀수인지 확인할 때 사용할 수 있다.
- 홀수 : x % 2 = 1
- 짝수 : y % 2 = 0
- 어떤 값이 들어와도 5를 넘기면 안 될 때 (5보다 작은 수를 원할 때)
x % 5 = 0 ~ 4 사이의 값만 반환
0 ~ 4 값만 반환한다.
거듭제곱
- 거듭제곱을 하려면 *를 두 번 쓰면 된다.
const num = 2 ** 3;
console.log(num); //8
우선순위
*(곱셈),/(나눗셈)이 +(덧셈), -(뺄셈) 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괄호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연산해야 한다.
연산자 줄여서 쓰기
- 아래와 같이 줄일 수 있다.
let num = 10;
num = num + 5;
// 위의 식을 아래와 같이 줄였다.
num += 5; // (덧셈)
num -= 5; // (뺄셈)
num %= 5; // (나머지)
num *= 5; // (곱셈)
num /= 5; // (나눗셈)
증가 연산자(++)와 감소 연산자(--)
- ++ 와 -- 는 각각 +1 ,-1을 의미한다.
- ++ 와 -- 를 변수 앞에 쓸지 뒤에 쓸지에 따라 달라진다.
증가 연산자 : ++를 변수 뒤에 쓸 때
- 증가시키기 전의 값을 result에 넣어서 값이 변경되지 않는다.
- num(10)이 result에 할당되고 (result는 10이 된다.) 그리고 +1이 되기 때문에 값이 변화가 없다.
let num = 10;
let result = num++;
console.log(result)
증가 연산자 : ++를 앞에 붙였을 때
- 값이 증가된 후 result에 할당된다.
let num2 = 10;
let result2 = ++num2;
console.log(result2);
'STUDY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 데이터 타입 (Data Type) (0) | 2022.06.30 |
---|---|
JS : Scope (스코프) (0) | 2022.06.28 |
JS : 형 변환(Type Casting) (0) | 2022.05.12 |
JS : 대화상자를 나타내는 메서드 : alert, prompt, confirm (0) | 2022.05.03 |
JS : 자료형 - 객체 타입 (object type) (0) | 2022.04.14 |